군사

토마호크 미사일이 유명한 이유

당신을위한정보 2019. 9. 16. 05:19

1972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83년부터 실전배치된 BGM-109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은 유도시스템이나 탄두를 수납한 앞부분을 교환하는 것으로 지상공격(핵탄두장비인 A형, 통상 폭탄장비인 C형, 광역제압용 자탄탑재형인 D형 대함공격형 등)여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미사일입니다.

 

 

 

또한 성능향상을 위해 여러 차례에 걸쳐 개량이 이뤄지면서 수 종류의 베리에이션이 존재합니다. 대기권내를 저고도로 비행하며 1000km이상의 긴 사거리와 10m 이하의 CEP라는 성능을 지는 토마호크처럼 고성능에 높은 정밀도를 자랑하는 순항미사일에는 복수의 항법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토마호크는 항법 정밀도가 높은 동시에 융통성이 있는 운용이 가능한데, 사막 등 지형이 바뀌기 쉬운 지역의 경우 사전에 입력해 둔 지도와 실제 지형이 일치하지 않는 일이 종종 있는데 이때는 광학센서로 지형을 스캔하고 사전에 기억시킨 영상과 비교해서 비행코스의 수정을 실시하는 DSMAC를 사용합니다.

 

 

이것은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비행코스의 기준의 되는 건물 등이 파괴되어 버리면 이 역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블록3부터는 지형이나 영상 정보와 관계없이 취지 보정이 가능한 GPS가 도입되었습니다. 블록4는 GPS와 위성 링크를 사용, 비행 중에도 다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으며 표적 변경도 가능한데, 여기에 더하여 위성 링크를 통해 전방감시카메라의 영상을 발사한 함정으로 송신하게 되면서 영상을 이용한 표적 확인도 할 수 있습니다.

 

토마호크의 임무 유형

 

1. 토마호크처럼 대기권내를 장시간 비행하는 미사일의 경우 INS만으로는 항법정밀도가 떨어지므로 보조 항법시스템이 필요하게 됩니다.하지만 GPS를 사용하면 TERCOM처럼 지상 지표가 없어도 위치 좌표를 확인, 보정해서 정확한 비행이 가능합니다.

 

2.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전파로 위치를 조합합니다.

 

3. 복수의 항법시스템으로 지형을 따라 정확한 비행이 가능합니다.

 

 

4. 위성링크를 통해 비행 도중에도 사전 등록 둔 표적중에서 대체 표적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표적 변경이 가능합니다.

 

5. 전방감시카메라로 비행정보나 표적을 확인합니다.

 

6. 표적 부근에서 상승 DSAMC를 사용해서 표적을 확인하고 공격합니다.

 

7. 팝업공격 이외에 표적의 배후로부터 돌입하기도 하고 상공에서 탄두를 폭발시켜 폭풍 파편 공격도 할 수 있습니다.

 

 

토마호크의 유도시스템은 INS와 TERCOM을 겸용하고 있는데 여기서 TERCOM은 관성유도의 오차를 보정하고 명중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정비행코스가 되는 지역을 100m 사방으로 1매스의 구역으로 나누고 그 평균고도를 수치로 바꿔놓은 디지털맵에 기억시켜 둡니다.

 

미사일은 실제로 비행하고 있는 코스를 디지털맵과 대조 비교하여 스스 비행코스를 보정하며 정확한 코스를 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