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

기관총의 운용방법

당신을위한정보 2019. 8. 26. 02:00

보병부대의 화력부족을 보강해주는 지원화기로 기관총을 꼽습니다. 반격하는 적에게 맹렬한 위력으로 탄약을 퍼부어 움직임을 봉쇄하고 돌입하는 아군 병사를 지원하는 것이 기관총의 첫번째 운용방법입니다. 돌격소총도 물론 연사는 가능하지만 자동으로 연사할 경우 순식간에 탄창이 비어버리며 총열 과열 등의 문제가 일어납니다.

 

 

오랜 시간 동안 연사를 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지원화기인 기관총은 총열과 작동부의 연사 시 발열에 대한 내구도가 높으며 대량의 탄약을 공급할 수 있는 급탄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연사가 가능합니다.

 

또한 연사 시에도 가능한 정확히 사격할 수 있도록 양각대 또는 삼각대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의 교훈을 통해 보병부대는 경기관총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형태로 변해갔습니다. 한편 돌격 시에는 기관총이 강력한 화력으로 적을 제압하여 돌격하는 보병을 엄호하고 사격전에서는 보병이 기관총을 엄호한다는 새로운 발상이 주목받아 그 결과물로 개발된 것이 다목적 기관총입니다.

 

 

다목적 기관총은 휴대와 운용이 쉬운 공냉식 기관총으로 평소에는 경기관총으로 운용하다가 삼각대를 장착하여 중기관총으로 운용하거나 차량에 탑재하여 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기관총은 이러한 방식이 주류가 되었습니다.

 

7.62mm 탄을 사용하여 분대지원화기보다도 사거리가 긴 것이 특징으로 중기관총은 12.7mm탄과 같은 대구경 탄약을 사용하는 기관총으로 1명이 휴대 운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현역으로 사용되는 중기관총의 종류는 다목적 기관총에 비해 그다지 많지 않은 편입니다

 

 

그 중에서 M240은 벨기에의 FN사가 개발한 FN MAG를 면허생산한 제품으로 미군이 채용한 다목적 기관총입니다. 프레 스 가공 공법이 적용되어 생산성이 높으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총기이기도 합니다. 단순한 구조로 신뢰성이 높은 구조로 70여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중기관총의 경우 M2 중기관총의 후계자로 개발되었던 XM312는 12.7mm 탄약을 사용하면서도 중량은 m2의 반 정도에 지나지 않으며 유효사거리는 2,000m 정도로 위력도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운용이원도 2명이면 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중기관총과는 다른 활용방법이 가능할 것으로 주목 받았으나 예산 등의 문제로 현재는 사업이 취소된 상태입니다.